top of page
검색

보안 3요소 + DoS/DDoS
보안 3요소 Confidentiality(기밀성) : 인가된 사람만 접근, 보기 가능 Integrity(무결성) : 인가된 사람만 수정 가능, 위조되지 않은 정보가 맞다. Availability(가용성) : 인가된 사람은 항상 접근할 수 있다....
지현 배
2022년 6월 21일3분 분량
조회수 4회
댓글 0개

3G 이후(LTE) Mobile 용어
기존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교환기(MSC) - 기지국제어기(BSC) - 기지국(BTS 또는 BSS) 이렇게 구성이 된게 일반적이었습니다. 하나의 교환기에는 다수의 BSC가 연결되고 하나의 BSC는 또 다수의 기지국과 연결된 형태였어요. 여기서 휴대...
지현 배
2022년 6월 21일2분 분량
조회수 4회
댓글 0개

안테나 기술 & MU-MIMO
MU-MIMO와 SU-MIMO를 알아보기 전에 안테나 기술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안테나 기술 1. SISO ( Single Input Single Output ) 안테나 하나로 송신과 통신을 모두 한다는 것이다.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제일...
지현 배
2022년 6월 21일1분 분량
조회수 5회
댓글 0개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란?
MPLS란? - 인터넷의 백본망 등에서, 대량의 트래픽 처리를 고속으로 처리 및 관리를 하기 위한 방안 - IP 주소를 사용하는 대신 레이블을 사용하여 패킷을 라우팅하는 프로토콜 - 2.5계층 프로토콜이라고 부름 기존 라우팅과의 차이 기존 라우팅...
지현 배
2022년 6월 21일2분 분량
조회수 4회
댓글 0개

FDDI(Fiber Distributed Digital Interface)
FDDI (Fiber Distributed Digital Interface)란? ㅇ 1980년대 Ethernet(IEEE 802.3),Token Ring(IEEE 802.5)에 뒤이은 고속 근거리 망의 표준 ㅇ 과거에 주로...
지현 배
2022년 6월 20일2분 분량
조회수 2회
댓글 0개

이더넷 프레임 구조
Preamble 호스트간의 비트 동기화를 위한 것 SFD(Start of Frame Delimiter)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필드. SFD는 수신자에게 데이터가 이어진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사용. Destination Address 물리적 주소...
지현 배
2022년 6월 20일1분 분량
조회수 2회
댓글 0개

와이파이, 와이맥스, 와이브로 차이
와이파이(Wi-Fi) 무선랜 기술은 1997년 `802.11'이라고 불리는 무선 랜 규격의 원형이 등장하면서 무선기술의 발달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세계적으로는 802.11계열 기술이 와이파이로 통용된다. 와이파이는 `Wireless...
지현 배
2022년 6월 18일1분 분량
조회수 4회
댓글 0개

단방향, 양방향 통신
Link layer services는 반이중으로, 링크의 양쪽 끝에 있는 노드는 전송할 수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는 없습니다. Simplex, Duplex(Half Duplex, Full Duplex) 비교 ㅇ 단방향 통신 (Simplex,...
지현 배
2022년 6월 18일1분 분량
조회수 14회
댓글 0개

Traceroute란?
Traceroute란? 패킷이 목적지 까지 도달하는 동안 거치는 라우터의 IP를 확인할 수 있는 툴. - ICMP Error메세지를 통해 진행됩니다. Traceroute / Tracert 작동방식 특정 IP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알고 싶을때,...
지현 배
2022년 6월 17일1분 분량
조회수 5회
댓글 0개

와이파이와 1G~5G 변화
와이파이의 기술 표준 - 와이파이의 핵심 성공 요소는 상호 운용성 (Interoperability) - “와이파이”라는 용어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가 인증한 제품이라는 것으로 사용되었음 와이파이 데이터 속도 802.11 (1997) –...
지현 배
2022년 6월 17일3분 분량
조회수 3회
댓글 0개

SDN 제어 평면 + ODL(Open Day Light)
SDN 제어 평면 (Control Plane)이란? - 애플리케이션 평면의 요청 사항을 특정한 형태의 명령이나 지시사항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스위치에 전달하거나, - 데이터 평면의 토폴로지 및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하는...
지현 배
2022년 6월 5일2분 분량
조회수 4회
댓글 0개

SDN 데이터 평면 + Openflow
SDN 구조 SDN 데이터 평면이란 네트워크 포워딩 장치가 SDN제어평면에서 지정한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고 처리하는 영역 네트워크 장치 (데이터 평면 네트워크 요소 또는 스위치)의 주된 기능 1) 제어 지원 기능 - 리소스 제어...
지현 배
2022년 6월 5일2분 분량
조회수 9회
댓글 0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오류 메세지를 전송받는 데 주로 쓰입니다. 위키 정의를 좀 더...
지현 배
2022년 6월 5일2분 분량
조회수 4회
댓글 0개

Network load balancer란?
Network load balancer를 사용하는 이유 네트워크 로드 밸런서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여러 WAN 링크, 가상 시스템 또는 서버에 분산시켜 복잡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고 단일 호스트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합니다. 모든 로드...
지현 배
2022년 6월 4일3분 분량
조회수 6회
댓글 0개

Firmware란?
펌웨어가 나오게 된 배경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등장할 때마다 그에 해당하는 기능을 갖춘 논리 회로를 추가한 하드웨어를 새로 만들 수도 있지만, 그렇게하면 시간 면에서 큰 낭비 그래서 개발자들은 하드웨어 내부의 제어 부분에 공간을 만들어, 그것에...
지현 배
2022년 6월 4일2분 분량
조회수 6회
댓글 0개

ARP table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란? ARP는 논리적인 IP 주소를 기반으로 물리적인 MAC 주소로 바꾸어주는 주소 해석 프로토콜 즉, IP 주소와 MAC 주소 사이를 연결해준다. IP 주소와 MAC 주소 IP 주소와...
지현 배
2022년 6월 3일2분 분량
조회수 9회
댓글 0개

Ethernet, Arp, IP Header 구조 정리
Ethernet Header이란? 한 스테이션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컨테이너 [Ethernet II (DIX II) Frame Header]와 달라진 점만 필기하였습니다. 짤막하게 추가설명을 하자면...
지현 배
2022년 6월 3일1분 분량
조회수 6회
댓글 0개

CRC 오류체크 비트
CRC(Cyclic redundancy check)이란? "순환 덧붙임 검사" Disk에 file을 저장하고 읽을 때, Data 통신에서 file을 전송할 때 사용하며 전송중 정보(데이터)에 오류(error)가 발생하였는 지 확인하기 위해...
지현 배
2022년 6월 3일1분 분량
조회수 5회
댓글 0개

IPv4, IPv6 파헤치기
IPv4 ㅇ Version (4 bits) - 현재로는 버젼 4 (IPv4)를 사용 ㅇ Header Length(HLEN) (4 bits) - 헤더의 길이 . 32비트(4 바이트) 워드 단위로 헤더 길이를 표시 - 길이 값 표현 . 최소 5...
지현 배
2022년 5월 22일4분 분량
조회수 12회
댓글 0개

CIDR란?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이란? 클래스 없는 도메인간 라우팅 기법이라는 뜻으로 Inter-Domain간 라우팅 형태이다. * 여기서 클래스가 없다는 것은 네트워크 구분을 Class로 하지 않는다는 것...
지현 배
2022년 5월 22일2분 분량
조회수 9회
댓글 0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