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성 HTTP vs 비 지속성 HTTP (+ RTT)
- 지현 배
- 2022년 3월 25일
- 1분 분량
HTTP는 TCP를 사용한다.
지속성 HTTP
TCP연결된 후 page 들어가서 계속 타고 들어가며 클릭하다가 끝나면 TCP 연결을 해제한다.
+ 요즘은 보통 이 방법을 사용한다.
순서
1) Client : Host 주소만 server에 보낸다. (www.someSchool.deu)
2) Server : accept를 해준다.
3) Client : 원하는 객체를 알리며 HTTP request message를 보낸다. (someDepartment/home.index)
4) Server : 원하는 객체를 response message에 담아 client에 보낸다.
5) (3) ~ (4)를 반복한다.
6) TCP 연결을 해제한다.
반응시간
처음 TCP 연결하는 1RTT 말고는 계속 1RTT씩 소요하며 데이터/파일을 주고 받는다.
비지속성 HTTP
TCP 연결하고 HTML 문서를 1개 가져오면 바로 TCP 연결을 해제한다.
+ 예전에 Server 성능이 안 좋을 때 다른 Client도 받기 위해 이 방법을 사용했다.
순서 (www.someSchool.deu/someDepartment/home.index)
1) Client : Host 주소만 server에 보낸다. (www.someSchool.deu)
2) Server : accept를 해준다.
3) Client : 원하는 객체를 알리며 HTTP request message를 보낸다. (someDepartment/home.index)
4) Server : 원하는 객체를 response message에 담아 client에 보낸다.
5) TCP 연결을 해제한다.
반응시간
매 데이터/파일을 주고 받을 때마다 2RTT(TCP 연결 + 데이터 주고 받는 시간)가 소요된다.
RTT
작은 패킷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전송되고 돌아오는 시간

▶ TCP 연결 (1RTT소요)
▶ 데이터 전달 (1RTT 소요)
▶ TCP 해제 (1RTT소요)
- 비지속성 HTTP의 반응 시간 = 2RTT(매 요청마다 반복되는 시간) + 파일 전송 시간(어차피 필요한 시간) (정확히는 연결이 끊기는 시간까지 3RT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