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서버 내 정보(A recode, CNAME 차이)
- 지현 배
- 2022년 3월 23일
- 1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2년 3월 26일
예를 들어 naver.com 이라는 문자열 주소(도메인)를 192.168.0.1인 IP 주소로 해석해준다.
DNS 서버 내 정보는 RR 포맷을 사용한다.
RR포맷이란?
(name, value, type, ttl)
type에 따라 name, value에 들어가는 값이 다르다.
type A:
name = hostname
value = IP address
- 도메인 주소와 서버의 IP주소를 직접 맵핑
- naver.com 도메인 주소가 들어오면 바로 192.168.0.1인 IP주소를 할당해준다.
도메인 | IP 주소 |
naver.com | 192.168.0.1 |
google.com | 172.17.0.1 |
plusblog.co.kr | 10.234.34.12 |
type CNAME:
name = alias (별칭)
value = (또 다른 domain주소)
- 도메인 주소를 또 다른 도메인 주소로 맵핑
- 사용자가 develop.plusblog.co.kr 도메인을 요청하면 DNS 서버는 dev.plusblog.co.kr을 리턴해주고 사용자는 다시 dev.plusblog.co.kr 도메인 요청을 보낸다. 그 후, DNS 서버는 172.17.0.1을 리턴해주고 사용자는 IP주소를 사용하게 된다.
도메인 | IP 주소 |
naver.com | 192.168.0.1 |
dev.plusblog.co.kr | 172.17.0.1 |
develop.plusblog.co.kr | dev.plusblog.co.kr |
위의 표에서 마지막 행을 보면 develop.plusblog.co.kr 도메인과 dev.plusblog.co.kr 을 연결해주는데 이 행의 타입은 CNAME 이며 도메인 주소에 대한 별칭을 붙여주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나머지 행은 도메인과 IP주소를 직접 맵핑해주며 A타입이다.
type NS:
local DNS Server가 아닌 Authoritative DNS Server (책임 DNS)의 정보가 담긴다.
name = domain (ex, foo.com)
value = hostname
type MX:
value = mailserver name
コ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