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 지현 배
- 2022년 5월 21일
- 1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2년 6월 19일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이란?
비동기 전달모드라는 뜻으로, 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정하여 순서대로 전송하는 자료의 전송방식이다.
특징
- 셀이라 부르는 고정 길이 패킷을 이용하여 처리가 단순하고 고속망에 적합
- 연속적으로 셀을 보낼 때 다중화를 하지 않고 셀단위로 동기가 이루어지지만 경우에 따라 동기식 시간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기도 한다.
-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음성과 같이 고정 비트레이트(CBR)의 처리와 압축 비디오 신호와 같이 가변 비트레이트(VBR)의 처리가 모두 가능하다.
-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정보들에 대하여 대역폭 조절 능력과 지연 시간 조절 능력을 가지며 융통성 있는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방식으로, 채널 속도를 가변적 운용한다.
- 셀 중계 프로토콜로 B-ISDN과 결합하여 전 세계 네트워크의 고속 상호연결을 가능하게 해 현재 뿐 아니라 미래의 서비스까지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단어 정의
CBR(Constant bitrate) : 고정 비트레이트라는 뜻으로, 출력 데이터가 일정하도록 하는 기술.
VBR(Variable bitrate): 가변 비트레이트라는 뜻으로, 단위 시간당 출력하는 데이터의 양이 계속 변한다. CBR보다 더욱 복잡한 연산을 하며 비트레이트의 효율적인 할당이 가능하다.
ABR(Available bitrate): 네트워크 프로그램이 활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가능한 최대로 쓰면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보내는데, 피드백을 받은 장치는 스위치 장비가 양질의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네트워크 혼잡도에 따라 전송 속도를 조절한다.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초고속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며 디지털 방식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망
참고
Comments